항만물류빅데이터센터
기존 데이터와 IoT 및 모바일 기반 실시간 데이터 융합한 실시간 컨테이너 서비스 정시성 서비스 제공을 통한 항만물류 효율성 및 생산성 제고 및 항만운영사와 선사의 물류경쟁력 강화
-
 |
 | 컨테이너 양적하 데이터 |
|
 | 터미널에 수출 수입된 컨테이너 데이터 |
|
 | 컨테이너 운송 데이터 |
|
 | 운송차량에 의한 컨테이너 이송 데이터 |
|
 | 컨테이너 야적 데이터 |
|
 | 컨테이너 취급 장비의 터미널내 이동 및 야적관련 장비 데이터 |
|
|
|
|
-
 |
 | 운송차량 위치정보 데이터 |
|
 | 제한된 차량의 샘플링 데이터 |
 | 운송차량 위치 추적 확대 도모 |
|
 | 하역장비 위치정보 데이터 |
|
 | 크레인의 실시간 위치 및 시그널 데이터 |
 | 터미널 전용 차량의 위치정보 |
|
|
|
|
-
 |
 | 운송차량 위치정보 데이터 |
|
 | 확대된 운송차량 위치 정보 데이터 |
 | 다양한 빅데이터 분석이 가능 |
|
 | 하역장비 위치정보 데이터 |
|
 | 크레인의 실시간 위치 및 시그널 데이터 |
 | 터미널 전용 차량의 위치정보 |
 | 데이터 제공 터미널 확대 |
|
|
|
|
-
 |
 | 데이터 : 운송차량과 컨테이너 터미널의 반출입 차량 데이터 |
 | 활용방안 : 상세 기준별 이력 데이터 추이 제공 |
|
 | 전국 항만/터미널별 턴어라운드타임 현황파악 |
 | 요일별, 선박별, 유형별 (수출/수입/수출입/환적) 현황파악 |

| 데이터의 충분한 Volume과 Variety가 확보됨에 따라 터미널 영업과 운영을 위한 기초 데이터로 활용가능 |
|
|
|
|
|
-
 |

| 데이터 : 컨테이너 터미널의 CHE 실시간 위치정보 데이터 및 외부차량의 실시간 위치정보 데이터 |
 | 활용방안 : 컨테이너 터미널 Operation의 Digital Reproduction |
|
 | 데이터 제공 협약 터미널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, 시간 변화에 따른 가공된 데이터의 재현 |
 | 데이터 혼잡도를 고려한 외부차량 통제 |
 | VBS (Vehicle Booking System과의 연계) |
|
|
|
|
|

참여기관
번호 |
플랫폼 참여기관 |
특 징 |
참여기관명 |
기관로고 |
1 |
해운항만물류정보협회 splia.modoo.at |
 |
- 해운 항만 물류 분야 정보화 - 해운 항만 물류 혁신 및 표준화 방안 도출 |
2 |
지팬스스마트로 www.gpanssmartlo.com |
 |
- 스마트 물류 : 운송, 배차, 인수, 실적 관리 - 항만 물류 최적화 서비스
|